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사이트맵과 RSS 차이점, 'RSS 가져올 수 없음' 해결법

by onnews 2025. 4. 24.

사이트맵과 RSS, 구글은 왜 둘 다 필요할까?

블로그나 웹사이트를 운영하며 구글 서치 콘솔에 사이트맵과 RSS를 제출해야 한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정확히 왜 이 두 가지가 필요하고,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명확히 알고 계신 분은 드뭅니다.

오늘은 이 두 개념을 자동차 네비게이션에 비유하여 쉽게 설명드리겠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에서 구글 서치 콘솔에 RSS 제출 시 ‘가져올 수 없음’ 오류를 해결하는 완전한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블로그 노출 문제도 해결!

 


 

사이트맵(Sitemap)이란? – ‘지도의 역할’

사이트맵은 웹사이트의 전체 구조를 알려주는 지도입니다.
구글 검색 로봇(크롤러)이 우리 사이트에 처음 방문했을 때 어디를 어떻게 돌아다녀야 하는지 길을 알려주는 역할을 하죠.

🧭 비유: 사이트맵 = 자동차 네비게이션의 지도

  • 목적지를 빠르게 찾기 위해 네비게이션이 도로 정보를 담은 지도를 사용하듯,
  • 구글도 우리 웹사이트의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사이트맵을 사용합니다.

📌 주요 기능

  • 새 페이지가 생겼을 때 구글이 더 빠르게 발견
  • 숨겨진 페이지나 이미지, 영상 등도 색인에 포함 가능
  • 사이트 구조 변경 시 검색 엔진에게 빠르게 알려줌



RSS란? – ‘지도의 업데이트 역할’

RSS는 콘텐츠의 업데이트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하는 도구입니다.
기존 콘텐츠를 수정하거나, 새로운 포스트를 올렸을 때 이를 구글에 빠르게 알려주는 역할을 하죠.

 

🧭 비유: RSS = 지도 최신 버전 업데이트

  • 기존 네비게이션에서 지도 버전이 3.0 → 3.1로 업데이트되는 것처럼,
  • RSS는 사이트의 새 소식이나 변경사항을 신속히 반영합니다.

📌 주요 기능

  • 콘텐츠가 자주 바뀌는 뉴스, 블로그 등에서 효과적
  • 수정된 콘텐츠를 더 빨리 색인하게 해 검색 반영 속도 ↑
  • SEO 실험 중 구조나 제목을 바꾸는 경우에도 유용

 

 

🆚 사이트맵과 RSS, 꼭 둘 다 제출해야 할까?

항목사이트맵RSS

 

목적 전체 구조 인식 변경사항 빠른 반영
제출 타이밍 사이트 개설 직후 포스트 수정/등록 시
비유 지도 전체 지도 업데이트
필요성 기본 필수 선택적이지만 추천

 

👉 결론: 둘 다 제출하는 것이 SEO에 유리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 RSS ‘가져올 수 없음’ 완벽 해결법

 

 

티스토리 블로그를 시작한 지 얼마 안 됐는데, 아무리 글을 써도 구글과 네이버 검색에 노출이 되지 않는다면?


특히 구글 서치 콘솔에서 RSS 사이트맵을 제출했음에도 불구하고 “가져올 수 없음” 오류가 뜬다면 많은 분들이 혼란을 겪으셨을 겁니다.

 

이 글은 그런 분들을 위한 경험 기반의 실전 해결 가이드입니다.

 


 

왜 RSS를 제출해야 할까?

 

RSS 등록은 검색 노출을 위한 필수 절차입니다.


구글의 검색 크롤러가 블로그 글을 읽고 색인화(indexing)하기 위해 RSS나 XML 사이트맵을 필요로 합니다.
특히 티스토리처럼 구글에 노출이 다소 느린 블로그 플랫폼에서는 직접 RSS 제출이 중요합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가져올 수 없음” 오류가 뜨는 이유

 

보통 RSS를 처음 제출할 때 다음 두 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1. 사이트맵 등록 없이 RSS만 제출한 경우

  • 이 경우 구글이 사이트 자체를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에 RSS 주소를 가져올 수 없음으로 처리합니다.

 

2. RSS 주소를 잘못 입력한 경우

  • 주소 형식: https://블로그주소/rss 로 간단히 입력해야 하는데, 전체 URL을 반복해서 입력하거나 오타가 있으면 오류가 납니다.

 

상황별 RSS 제출 정확한 방법

 

블로그 관리에서 플러그 - 구글 서치콘솔 '계정 연결하기' - 적용

 

 

케이스 1. 처음 등록하는 경우

  1. Google Search Console 접속
  2. 왼쪽 메뉴에서 사이트맵(Sitemaps) 클릭
  3. https://내블로그주소/rss 입력 후 제출
  4. 상태에 성공이 뜨지 않고 ‘가져올 수 없음’이 뜬다면?

    👉 F5 새로고침하거나 하루~이틀 기다리면 해결됨


 

사이트맵관리텝에서 rss 제출하는 란에 rss 적고 제출

 

 

케이스 2. 사이트맵은 등록 완료, RSS만 따로 제출하려는 경우

  1. 기존에 /sitemap.xml이 등록되어 있는 상태에서
  2. 사이트 주소 뒤에 /rss만 추가
  3. 예: blog.example.com/rss (※ 전체 URL 반복 입력 ❌)
  4. 제출 후 1~2분 내에 성공 상태 확인 가능

💡 꿀팁: 기존 연결을 해제하고 다시 계정 연결을 해보면 문제 해결 확률 ↑

 


 

티스토리 블로그와 구글 계정 연결 방법 (다시 해보는 팁)

  1. 티스토리 관리 > 플러그인 > Google Search Console 클릭
  2. “계정 연결하기” → 구글 계정 선택 후 권한 허용
  3. 연결 팝업 확인 후 “적용” 클릭
  4. 서치 콘솔에서 블로그가 등록되었는지 확인



자주 묻는 질문

 

Q1. RSS를 제출했는데 ‘가져올 수 없음’이 며칠째 계속되면?

블로그와 계정 연결을 다시 해보고, URL 입력을 다시 확인하세요. 그래도 해결되지 않으면 RSS 주소를 다시 제출하세요.

 


Q2. RSS와 sitemap.xml 둘 다 제출해야 하나요?

예, 둘 다 제출해야 색인 속도와 범위가 개선됩니다.

 


Q3. 구글에서는 사이트 검색은 되는데 글이 노출되지 않는 이유는?

색인은 되었지만 콘텐츠 품질이나 신뢰도가 낮다고 판단되어 노출이 안 될 수 있습니다.
구조화된 콘텐츠, 이미지 alt 태그, 관련 키워드 활용이 중요합니다.


 

이 글을 통해 더 이상 ‘가져올 수 없음’ 오류로 스트레스 받지 않으시길 바랍니다.
정확한 절차만 따르면 누구나 RSS 제출에 성공하고, 블로그 검색 노출도 정상화될 수 있습니다.